알다시피 전환은 목표전환설정 혹은 전자상거래 실행이 일어나야 보고서가 채워진다!!
를 깔고 가는거야
-----
획득 - 전체트래픽 - 소스/매체
거기에 전환 탭이 있다!
-----
전환 - 목표 - 개요
유의할 점
: 하나의 목표에 대해 한 세션 동안 한 번 이상 전환할 수 없다.
: 목표 관련 측정항목은 사용자가 아닌 세션을 기반으로 한다.
: 전자상거래 관련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는다
개요페이지
-----
목표URL
: 정해놓은 목표가 어느 URL에서 달성 되었는가
-----
목표경로 역추적
: 달성위치 이전의 경로들을 나타낸다(이전 3 페이지 까지)
-----
유입경로 시각화
: 설정해둔 것에 따라 유입경로 이탈율, 전환율 나타낼 수 있다.
: 순 페이지 뷰 수로 개수가 측정한다! (한 세션이 여러번 봐도 하나 증가)
: 순서대로 진행되는게 아니어도 상관없다! 1-2-3, 3-2, 1-3 다 가능 (근데 레어한 케이스)
: 큰 추세 파악은 가능하지만 어떤 소스에서 들어오는 사람이 얼마나 잘 달성하는 가를 보기는 힘듦
: 간편하게 볼 수 있다.
-----
목표흐름
: 유입경로 시각화 보고서와 비슷하긴함, 행동흐름과도 비슷.
: 유입경로를 설정해뒀다면 유용하게 보고서 확인가능.
: 측정기준 별로(소스매체, 사용자, 행동) 각 단계에 들어온 데이터를 갈라서 볼 수 있다.
: 유입경로에 들어온 세션들 중에서도 클릭을 해보면 이 길을 간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했는지 알 수 있다.
: 세부적으로 볼 수 있다.
: 위의 둘의 차이 점을 말하는 문서도 있다.
-----
실시간 보고서에 대해!!!!
개요
: 최근 활성 사용자 수 : 5분 이내
: 페이지뷰 수 : 최근 30분, 최근 60초 이내
: 인기 추천자 : 유입된 사용자 중 매체가 referal인 사용자들
: 인기 키워드 : 검색할 때에 어떤걸 많이 했나 (not provided가 많다)
-----
위치
: 아이피로 하기에 믿을 수 있다.
-----
트래픽 소스
: 활성사용자를 볼 수 있다.
-----
콘텐츠
: 사용자들이 어떤 화면을 보고있나
-----
이벤트
: 어떤 이벤트가 전송이 되고있나
-----
전환
: 전환이 활성사용자들 중에서 얼마나 일으키는지 (전자상거래 전환은 표시되지 않는다)
-----
--> 실시간 트래픽 보는 용도
--> 이벤트 만들었을 때에 그게 잘 되는지 확인하는 용도
-----
-----
기여
즉 전환을 일으킨 사용자가 그 전환을 일으키기 까지 어떤 채널을 통해서 유입되어 왔는지.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환 되었다면 그 비중을 어찌 나눌지.
즉 획득 - 소스/매체의 전환율, 거래량, 돈만 보고 결정하지말고 전환 이전의 세션들도 분석을 해야한다는 것이다!
예시)
이게 아니고
두 번째 방문이 직접 유입이더라도 앞의 페이스북 광고를 통해 유도되었다고 보는게 타당하다는 견해.
즉 이전 트래픽을 분석해서 FB 광고 때문이라고 표현하는거야 GA가
다른 예)
1 : 세션 3은 세션2가 직접유입이니까 세션 1을 보고 이게 google organic 이니까 그걸로 결정
2 : 세션 3은 세션 2가 검색이니까 그리고 자연검색을 했으니까 따라감
3 : 2는 1을 따라감 3은 추천유입을 했으니까 그걸 따라감
4 : 3은 2를 따라감
기본적으로 캠페인 만료기간이 6개월임
즉 세션 2가 세션 1을 참조하는데 6개월 내에 발생해야함
근데 바꿀 수 있다
관리 - 속성 - 추적정보 - 세션설정에 캠페인 만료/ 여기서 세션 종료의 시간도 바꿀 수 있다.
최종 클릭 기여 :
전환은 마지막 전환이 이루어진 세션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(100%의 기여도)
이전에 많은 세션들을 (검색, 페북광고, 블로그~) 참고했더라도 마지막 전환이, 최종 클릭 기여가 짱짱
결국 보고서에 오르는건 이거임
마지막 간접 클릭 :
마지막 세션이 직접유입이면 그 전 걸 이용한다.
-----
다채널 유입경로 보고서 @@@@ 중요한 것!
: 방문자의 전환까지의 경로를 완전하게 보여준다.
: 전환 분석의 많은 부분을 다 채널 유입경로 보고서에 할애해야 올바른 전환 분석을 할 수 있다.
: 한 사람이 어떤 채널들을 거쳤는가!!
-----
기여 - 모델 비교 도구 보고서
전환을 일으킨 경로에 대해 효과적으로 보기 위한 옵션들
마지막 간접 클릭 모델 많이 사용
7일 반 14일 반반 21 반반반 ..
시간 가치 하락 좋다!
근데 우리만의 기여모델을 만들 수 있따!!!!!
를 깔고 가는거야
-----
획득 - 전체트래픽 - 소스/매체
거기에 전환 탭이 있다!
-----
전환 - 목표 - 개요
유의할 점
: 하나의 목표에 대해 한 세션 동안 한 번 이상 전환할 수 없다.
: 목표 관련 측정항목은 사용자가 아닌 세션을 기반으로 한다.
: 전자상거래 관련 데이터는 포함하지 않는다
개요페이지
-----
목표URL
: 정해놓은 목표가 어느 URL에서 달성 되었는가
-----
목표경로 역추적
: 달성위치 이전의 경로들을 나타낸다(이전 3 페이지 까지)
-----
유입경로 시각화
: 설정해둔 것에 따라 유입경로 이탈율, 전환율 나타낼 수 있다.
: 순 페이지 뷰 수로 개수가 측정한다! (한 세션이 여러번 봐도 하나 증가)
: 순서대로 진행되는게 아니어도 상관없다! 1-2-3, 3-2, 1-3 다 가능 (근데 레어한 케이스)
: 큰 추세 파악은 가능하지만 어떤 소스에서 들어오는 사람이 얼마나 잘 달성하는 가를 보기는 힘듦
: 간편하게 볼 수 있다.
-----
목표흐름
: 유입경로 시각화 보고서와 비슷하긴함, 행동흐름과도 비슷.
: 유입경로를 설정해뒀다면 유용하게 보고서 확인가능.
: 측정기준 별로(소스매체, 사용자, 행동) 각 단계에 들어온 데이터를 갈라서 볼 수 있다.
: 유입경로에 들어온 세션들 중에서도 클릭을 해보면 이 길을 간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했는지 알 수 있다.
: 세부적으로 볼 수 있다.
: 위의 둘의 차이 점을 말하는 문서도 있다.
-----
실시간 보고서에 대해!!!!
개요
: 최근 활성 사용자 수 : 5분 이내
: 페이지뷰 수 : 최근 30분, 최근 60초 이내
: 인기 추천자 : 유입된 사용자 중 매체가 referal인 사용자들
: 인기 키워드 : 검색할 때에 어떤걸 많이 했나 (not provided가 많다)
-----
위치
: 아이피로 하기에 믿을 수 있다.
-----
트래픽 소스
: 활성사용자를 볼 수 있다.
-----
콘텐츠
: 사용자들이 어떤 화면을 보고있나
-----
이벤트
: 어떤 이벤트가 전송이 되고있나
-----
전환
: 전환이 활성사용자들 중에서 얼마나 일으키는지 (전자상거래 전환은 표시되지 않는다)
-----
--> 실시간 트래픽 보는 용도
--> 이벤트 만들었을 때에 그게 잘 되는지 확인하는 용도
-----
-----
기여
즉 전환을 일으킨 사용자가 그 전환을 일으키기 까지 어떤 채널을 통해서 유입되어 왔는지.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전환 되었다면 그 비중을 어찌 나눌지.
즉 획득 - 소스/매체의 전환율, 거래량, 돈만 보고 결정하지말고 전환 이전의 세션들도 분석을 해야한다는 것이다!
예시)
이게 아니고
두 번째 방문이 직접 유입이더라도 앞의 페이스북 광고를 통해 유도되었다고 보는게 타당하다는 견해.
즉 이전 트래픽을 분석해서 FB 광고 때문이라고 표현하는거야 GA가
다른 예)
1 : 세션 3은 세션2가 직접유입이니까 세션 1을 보고 이게 google organic 이니까 그걸로 결정
2 : 세션 3은 세션 2가 검색이니까 그리고 자연검색을 했으니까 따라감
3 : 2는 1을 따라감 3은 추천유입을 했으니까 그걸 따라감
4 : 3은 2를 따라감
기본적으로 캠페인 만료기간이 6개월임
즉 세션 2가 세션 1을 참조하는데 6개월 내에 발생해야함
근데 바꿀 수 있다
관리 - 속성 - 추적정보 - 세션설정에 캠페인 만료/ 여기서 세션 종료의 시간도 바꿀 수 있다.
최종 클릭 기여 :
전환은 마지막 전환이 이루어진 세션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(100%의 기여도)
이전에 많은 세션들을 (검색, 페북광고, 블로그~) 참고했더라도 마지막 전환이, 최종 클릭 기여가 짱짱
결국 보고서에 오르는건 이거임
마지막 간접 클릭 :
마지막 세션이 직접유입이면 그 전 걸 이용한다.
-----
다채널 유입경로 보고서 @@@@ 중요한 것!
: 방문자의 전환까지의 경로를 완전하게 보여준다.
: 전환 분석의 많은 부분을 다 채널 유입경로 보고서에 할애해야 올바른 전환 분석을 할 수 있다.
: 한 사람이 어떤 채널들을 거쳤는가!!
-----
기여 - 모델 비교 도구 보고서
전환을 일으킨 경로에 대해 효과적으로 보기 위한 옵션들
마지막 간접 클릭 모델 많이 사용
7일 반 14일 반반 21 반반반 ..
시간 가치 하락 좋다!
근데 우리만의 기여모델을 만들 수 있따!!!!!
댓글
댓글 쓰기